본문 바로가기
주키즈의 따뜻한 경제이야기/주키즈의 토막 경제

[누구냐 넌?]엠투아이, 심텍, 제이엘케이, 한국전력(컨센서스 간단 요약)(ft. 스마트팩토리, 반도체, 기판, MLCC, 헬스케어, 신재생에너지, 디지털 뉴딜)

by 주Kids 2020. 11. 6.
반응형

오늘의 컨센서스 간단요약 기업은 엠투아이, 심텍, 제이엘케이, 한국전력입니다.

 

첫 번째 기업은 엠투아이입니다. 동사는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업계에서 강력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대형 기업의 수주를 따내고 있습니다. 특히 동사의 매출처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들 수 있으며 2020년 실적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3년간 해외 매출도 10~12억원 정도로 견조한 매출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2021년에도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일 주가: 17050 52주 최고/최저가: 17150/ 13500

2020년 실적 전년대비 38.1 % 상승, 영업이익 103 % 상승으로 가파른 실적 성장이 예상되며, 동사의 매출처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이기 때문에 큰 폭의 이익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3년간 해외 매출도 10~12억원으로 견조한 매출을 보여주고 있으며, 2021년에도 안정적인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9월 후반부터 꾸준한 주가 상승이 있었으며, 상장주식 수가 적다는 점도 매력적인 포인트라 판단합니다.

 

다음은 심텍입니다. 반도체 기판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내년 DDR5로 신규 DRAM 구조가 출시되면서 강력한 실적 모멘텀을 가질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올해는 고객사의 재고조정 영향으로 매출액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내년 DRAM 업황 반전에 따라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원화 강세로 인해 환율이 비우호적인 환경이 유지되고 있어 추가적인 원화 강세 여부에 따라 실적 상승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일 주가: 18100 52주 최고/최저가: 22600/ 5730

3분기 매출액 전년대비 16 % 상승, 영업이익 4578 % 상승하였습니다. 하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감소해 컨센서스 대비 하회하였습니다.
이유로는 환율이 불리하게 작용하였으며 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주역이었던 HDI부문의 영업이익률이 전분기 대비 하락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합니다.
4분기에도 고객사의 재고조정 영향으로 매출액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나, 내년 DRAM 업황 반전으로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환율만 우호적인 환경으로 조성된다면 중장기 투자포인트가 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내년 업황을 보고 저점 매수 시기라고 판단합니다.

 

다음으로 제이엘케이입니다. 의료 AI 1호 상장 업체로 인공지능 기반 의료 진단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유일하게 전립선암, 뇌졸중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태국을 비롯한 글로벌 납품을 시작하고 있기 때문에 2021년부터 급속도로 매출 성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국내에서는 디지털 뉴딜 사업으로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일 주가: 12400 52주 최고/최저가: 14300/ 3830

의료 인공지능 1호 상장 업체로 인공지능 기반 의료 영상 진단 플랫폼, 헬스케어 플랫폼, 토털 데이털 매니지먼트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유일하게 전립선암, 뇌졸중 솔루션을 보유하고 폐질환 진단 솔루션 해외 매출 성장에 따른 실적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0년부터 태국, 미얀마 등에 납품을 시작하고 있으며 인도, 쿠웨이트, 일본과 납품 협의 중에 있습니다.
2021년부터 매출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며 디지털 뉴딜의 핵심 데이터 댐 사업으로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9월 고점 이후 꾸준한 주가 조정에 있으나 월봉상으로는 아직 추세가 유지되고 있어 주가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은 한국전력입니다. 한국전력은 국내 대표 공기업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공기업이라는 사업적 특성으로 주가는 꾸준히 저평가 받고 있으나, 꾸준한 매출 상승이 이루어지고 있어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연초 하락한 원자재 가격으로 2021년 실적 상승이 예상되며, 동사의 준수한 배당 수익률은 안정적인 투자 포인트라고 판단합니다. 다만 공기업인만큼 국내 에너지 정책에 따라 원가가 결정되기 때문에 향후 국내 에너지 정책 변화를 보시면서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전일 주가: 20400 52주 최고/최저가: 29250/ 16250

2021년 기준 PER 5배, PBR 0.18배이며 배당 수익률 5 % 수준으로 주가의 하방 경직성이 있습니다.
2021년 예측 매출액은 전년대비 1.2 % 증가한 59.4조원으로 전망되며, UAE 사업 준공이 다가옴에 따라 매출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연초 하락한 원자재 가격으로 2021년 실적의 기저로 작용할 전망이며 향후 유가 변화가 제한적일 경우 높은 배당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적과 배당은 긍정적이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른 원가 상승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PER, PBR은 항상 저평가 구간이나 큰 폭의 수익을 거두기는 어려운 종목이라 판단합니다.

 

 

* 해당 자료는 뉴스 및 리포트 자료, 각 기업의 IR 자료를 참고해 공부한 것들을 정리한 글입니다. 이점을 양지하시어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