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키즈의 따뜻한 경제이야기/주키즈의 토막 경제

[이슈정리]수소경제 선언! 원전 폐기 후 새로운 에너지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까?(ft. 빅히트, 환매청구권, 테슬라 요건, 성장성 추천 특례 상장, 빅쇼트)

by 주Kids 2020. 10. 18.
반응형

<대한민국 수소경제 간단 요약>

1. 10월 15일 제 2차 수소경제위원회가 개최되었으며, 수소경제의 선도 국가가 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지원을 발표했습니다.

2. 크게 수소 발전 의무화제도(HPS), 추출수소 경쟁력 확보, 수소시범도시 기본계획 및 수소도시법 제정, 제1차 수소경제위원회 후속조치, 수소법 하위법령 제정 추진 등을 발표해 수소경제 전환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 중입니다.

3. 당진에 하이넷 수소출하센터를 착공해 수소경제 시범도시로 선정했으며, 평택은 순수 국산 기술을 적용한 수소생산시설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4. 일회성 정책이 아닌 세계적으로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움직임으로 판단되어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2020년 10월 15일 제 2차 수소경제위원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수소 발전 의무화 제도 도입을 포함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 근거가 정비되었습니다. 이러한 행보는 세계의 수소경제 움직임과 발맞추는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을 포함해 일본, EU, 독일은 지속적으로 수소경제로의 이동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2050년 세계 수소경제 시장이 300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출처: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06/660845/

 

정책을 살펴보면 수소 발전 의무화 제도(HPS) 도입했으며, 해당 정책은 RPS 지원 제도가 가진 한계를 보완해 각 기업의 수소 발전 비율을 의무화시키는 것입니다. 이 제도가 성공적으로 도입된다면 수소연료전지 시장이 8 GW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추출수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가스가격 인하, 고압 도시가스 배관을 허용했으며, 수소시범도시를 선정해 제도적 금전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여러 수소시범도시들 중 당진은 하이넷 당진 수소출하센터를 착공해 부생수소 공급을 준비하고 있고, 내년 초 완공 예정입니다. 연간 최대 2천 톤(수소차 1만 3천대분)을 생산해 국내 주요 도시에 공급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수소 공급 가격인 7~8천원 수준에서 약 20 % 저렴하게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평택 또한 수소생산시설을 내년 9월 완공할 예정이며, 하루 5톤 규모의 수소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러한 수소생산시설 구축은 제이엔케이히터를 비롯해 국내 수소 생산 기술 보유 기업들에 기회를 부여하고, 해당 기업은 추가적인 연구개발과 수익성 개선을 통해 수소경제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그렇다면 수소경제와 관련된 회사는 어디가 있을까요? 기술 및 수혜를 통한 관련 기업, 수소 생산 방법별 기업, 수소에너지네트워크 파트너사로 분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술 및 수혜를 통한 관련 기업>

발전용 연료전지 수요 증가 예상: 두산퓨얼셀/ 에스퓨얼셀/ 미코/ SK블룸에너지(비상장)/ 한국퓨얼셀(비상장)

개질수소 인프라 기술 보유 기업 수혜 예상: 현대로템/ 제이엔케이히터/ 한국가스공사

수소 모빌리티, 수전해 수소생산, 수소 인프라 관련 기업 수혜 예상: 이엠코리아/ 현대로템/ 효성화학

 

<수소 생산 방법별 기업>

부생수소 포집: 효성화학/ SK가스/ 현대제철

천연가스 개질: 현대로템/ 제이앤케이히터/ 한국가스공사

수전해: 이엠코리아

 

<하이넷, 수소에너지네트워크 파트너사>

넬코리아/ 덕양/ 범한퓨얼셀/ 발맥스기술/ 제이엔케이히터/ 에어리퀴드코리아/에코바이오홀딩스/SPG 수소 코오롱인더스트리/ 한국가스공사/ 현대차/ 효성중공업

생산공급: 한국가스공사/ SK가스

자동차: 현대차/ 현대글로비스/ 현대제철

충전소: 효성중공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상기 내용을 읽어보시고 미래 산업인 수소경제 산업의 올라타 높은 수익을 거두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