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키즈의 따뜻한 경제이야기/주키즈의 토막 경제

[이슈정리]GS리테일과 GS홈쇼핑의 합병! 초대형 유통 공룡이 될까?(ft. 합병 후 주가, 주식매수청구권, CJ 오쇼핑, CJ ENM, 배당)

by 주Kids 2020. 11. 11.
반응형

<GS리테일과 GS홈쇼핑 합병 간단 요약>

1. 11월 10일 GS리테일과 GS홈쇼핑의 회사 합병을 공시하였습니다. 합병기일은 2021년 7월 1일로, GS리테일로 GS홈쇼핑이 흡수합병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습니다.

2. 아마존, 쿠팡 등 온라인 커머스의 확대와 이마트의 온오프라인 전략이 의미있는 결과를 가져오면서 GS 또한 기존 별도의 투트랙 전략에서 온오프라인 통합 커머스 플랫폼을 만들어 중장기 성장 모멘텀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합병 이후 GS리테일 측은 충성도 높은 고객층을 중심으로 구매 횟수의 증대와 통합 플랫폼의 고객 트래픽의 구체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온오프라인 통합 커머스 플랫폼을 이용해 상품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물류 통합과 투자 확대를 통해 신사업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4. 양사는 각 산업 분야의 1위 포지션에 있음에도 단조로운 사업 구조로 기업 가치를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금번 합병을 통해 양사의 장점을 융합해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확대하고 미래 성장으로의 발판이 될 것으로 판단합니다.

5. 주주입장에서 GS리테일 주주보다는 GS홈쇼핑 주주들이 더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GS리테일은 PBR 1.2배, GS홈쇼핑은 0.7배로 GS홈쇼핑의 주주들의 주식 가치가 희석될 수 있어 반발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성장성에 초점을 맞췄을 때 성장이 멈춘 GS홈쇼핑에 비해 지속적인 투자와 성장을 하고 있는 GS리테일의 주주들이 꺼려할 수도 있다고 판단합니다. 이러한 양사 주주들의 금번 합병에 대한 장단점이 있어 이점을 생각하시어 투자를 이어나가시기 바랍니다.

 

 

11월 10일 오전 GS리테일과 GS홈쇼핑에 합병 공시가 제출되었습니다. 양사는 각 사업 부문에서 1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금번 합병이 온오프라인 유통공룡으로 진화할 수 있음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합병 계획은 GS홈쇼핑 1주당 GS리테일 4.22주로 합병되며, 합병신주는 27,717,922주가 추가됩니다. 해당 합병에 대한 주주총회는 21년 5월 28일에 진행되며 합병 통과시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금번 합병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마존과 쿠팡 등의 거대 온라인 커머스 업체의 등장과 이마트의 온오프라인 플랫폼 전략은 지금까지 유효하게 성장하고 있어 현재 GS의 별개의 투트랙 전략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습니다. 세부내용에도 언급하듯 디지털 테크의 진화 소비형태 변화는 양사에게 있어 새로운 변화를 촉구하고 있으며, 양사의 합병은 늦었지만 미래 성장을 위한 유효 전략이라 판단합니다.

 

GS 측은 금번 합병을 통해 6가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통합 고객 전략과 옴니 전략을 통해 고객의 인터렉션을 증가하고 고객 확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상품 커버리지 확대와 디지털화를 통해 별도의 투트랙 전략으로 얻을 수 없는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물류 통합과 신사업 확대를 통해 양사의 펀더멘탈을 재평가하고 멀티플을 다시 부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유망한 전략과 달리 아직은 미래 성장성을 확신할 수 없습니다. 과거 2018년 CJ ENM과 CJ오쇼핑 합병 이후에도 뚜렷한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합병 당시 예측했던 기업가치보다 하회하고 있어 보다 구체화된 전략 제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금번 합병을 통한 양사의 주주 가치를 변화를 확인하겠습니다. 현재 GS리테일에 비해 밸류에이션이 낮은 GS홈쇼핑과의 합병은 GS리테일의 적정 밸류에이션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PBR로 보았을 때 GS리테일의 PBR 1.2배로 GS홈쇼핑보다 높아 오히려 주가 하락 가능성이 있어 주식 가치가 훼손될 수 있습니다. 금번 합병 이후 양사의 주식 가치가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어 이후 발표되는 합병 세부계획을 보신 후 투자의 지속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구체적인 합병 계획은 하기 그림에 있으며 2021년 5월 28일 주주총회 후 합병이 최종 결정되며 합병에 동의하지 않으실 경우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점 양지하시어 적절한 주주 권리를 행사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자료는 뉴스 및 IBK투자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리포트 자료, 당사 IR 자료를 참고해 공부한 것들을 정리한 글입니다. 이점을 양지하시어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