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키즈의 따뜻한 경제이야기/주키즈의 토막 경제

[누구냐 넌?]이엔드디, 한화솔루션, 윌링스, 포스코 ICT(컨센서스 간단 요약)

by 주Kids 2020. 10. 22.
반응형

오늘의 컨센서스 간단요약 기업은 이엔드디, 한화솔루션, 윌링스, 포스코 ICT입니다.

 

첫 번째 기업은 이엔드디입니다. 7월 30일 상장된 회사로 촉매시스템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동사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그린 뉴딜과 미세먼지 저감이라는 정부의 정책과 맞물려 강력한 상승 모멘텀을 가진 것으로 보이며, 미래 산업에도 충분한 효용성을 보여줄 것이라 판단합니다.

전일 주가: 24200 52주 최고/최저가: 31550/ 2900

2021년 신규사업인 양극활물질 전구체 사업 본격화
2021년 증설이 완료되어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가능
100 % 자체 원천기술을 보유한 동사는 촉매시스템의 매출이 전년 대비 73.9 % 성장 예상
촉매부문 매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상승 모멘텀은 충분
전년대비 매출액 72.7 % 상승, 영업이익 135.7 % 상승 전망
그린 뉴딜 + 미세먼지 + 소재 국산화로 강력한 미래 산업 효용성

횡보 cycle 중 바닥 확인 필요

 

다음은 한화솔루션입니다. 니콜라에 지분 투자로 유명한 한화솔루션의 경우 수소뿐만 아니라 태양광 장비 업체로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사업 매출 구조는 지속적인 상승 모멘텀을 가지고 있으며, 수소와 태양광과 같은 재생에너지 사업 부문은 미래성장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합니다.

전일 주가: 47500 52주 최고/최저가: 49250/ 9410

2021년 추정 PER 15배에 해당하는 주가
분기대비 23 % 영업이익 성장으로 시장 기대치를 소폭 상회할 전망
대선 관련 불확실성은 존재하나 친환경으로의 전환은 필연적임
수소 관련 사업도 진행하고 있어 향후 플러스 알파 요인이 될 것
당사의 포트폴리오는 케미칼(실적 개선중), 태양광(원가부담은 존재하나 연말까지 안정화될 예정), 첨단소재(전자소재의 매출 기여 확대), 리테일(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완화로 매출 호조 예상), 지분법(실적 감소로 인한 감익 전망, 니콜라 이슈), 그린수소 사업(2022~23년 본격화 예상)

현재 변동성이 커 주가 조정 필요

 

다음으로 윌링스입니다. 윌링스는 태양광 인버터 전문업체로 재생에너지 위주의 국가 정책에 맞물려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보유할 것이라 판단합니다. 또한 배터리팩 사업을 개시함으로 일본의 5G 구축 사업의 수혜를 받기 때문에 단기적인 주가 상승 모멘텀이 있을 것이라 판단합니다.

전일 주가: 16650 52주 최고/최저가: 19200/ 4640

2015년부터 영업이익을 안정적으로 유지
국내 태양광 산업의 성장으로 태양광 인버터 전문업체로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
배터리팩 사업을 개시함으로 일본의 5G 구축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
매출비중이 배터리팩 74 %, 태양광 전력변환장비 11 %, 유도가열 인버터 10 %
태양광 시장 확대로 매출 비중이 균형있게 성장할 것으로 판단

현재 조정타이밍으로 투자 매력적인 시기

 

다음은 포스코 ICT입니다. 포스코 계열사의 IT사업을 전담하는 회사로 디지털 뉴딜 수혜 기업으로 예상합니다. 3분기 실적도 전년 대비 20 % 상승하고 있으며, 스마트 팩토리 역량을 기반으로 신규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계열사 뿐만 아니라 타사의 스마트 팩토리 수주를 받으면서 지속적인 상승 모멘텀을 가질 것으로 보입니다.

전일 주가: 7040 52주 최고/최저가: 7810/ 2950

3분기 실적은 안정적인 계열사 매출로 전년대비 20.4 % 상승 전망
2020년 최초로 연간 매출액 1조원 돌파 전망하며 안정적인 실적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
스마트 팩토리 역량을 기반으로 보안사업에 진출해 신규 비즈니스 창출
한진 대전 자동화설비 구축사업을 수주하면서 계열사 이외의 매출 발생
확실한 성장스토리로 강력한 주가 상승 모멘텀 예상

급등 후 주가 조정중 바닥 확인 필요 

 

 

* 해당 자료는 뉴스 및 리포트 자료, 각 기업의 IR 자료를 참고해 공부한 것들을 정리한 글입니다. 이점을 양지하시어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